홉 (단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홉은 부피와 넓이를 재는 단위로,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는 부피 단위로 약 0.18리터이며, 넓이 단위로는 1평의 10분의 1이다.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의 '합'과 같은 2401/13310리터로 표준화되었으며,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상업적 사용이 금지되었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사용된다. 중국에서는 부피 단위로 1/10승과 같으며, 시대별로 규격이 변화했다. 일본에서는 '고' 또는 '컵'으로 불리며, 약 180.4mL이며, 쌀이나 사케의 양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일본 등산 용어에서 산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척관법 - 자 (단위)
척(尺)은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길이 단위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길이가 다양하게 변화했으며, 현재는 중국 등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 척관법 - 되
되는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부피 단위로, 일본에서 다이호 율령 시기부터 사용되어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크기로 존재했으며, 에도 시대 신쿄 되가 표준으로 사용되다 메이지 시대 미터법에 따라 크기가 정의되었으나 현대에는 사용이 금지되었고, 일본 문화에서 번성을 기원하는 상징으로도 활용되었다. - 넓이의 단위 - 제곱마일
제곱마일은 야드파운드법과 미국 단위계에서 사용되는 면적 단위로, 한 변이 1마일인 정사각형의 넓이이며, 2.589988110336 제곱킬로미터 또는 640 에이커에 해당한다. - 넓이의 단위 - 제곱킬로미터
제곱킬로미터는 한 변의 길이가 1킬로미터인 정사각형의 넓이를 나타내는 단위로, 1,000,000 m², 100 헥타르, 247.105381 에이커와 같으며, 지도에서 축척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고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면적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데 활용된다. - 부피의 단위 - 리터
리터는 10 센티미터 정육면체의 부피와 같은 부피 단위로, 미터법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재정의되었고, SI 단위는 아니지만 SI와 함께 사용이 허용되며, 실생활과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단위 기호로 l과 L이 함께 쓰인다. - 부피의 단위 - 세제곱미터
세제곱미터(m³)는 부피를 나타내는 SI 단위로, 1m x 1m x 1m의 공간을 차지하며, 1,000 리터와 같고, 물의 질량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 홉 (단위) | |
|---|---|
| 단위 정보 | |
| 명칭 | 합 (고) |
| 단위 계열 | 척관법 |
| 물리량 | 부피 |
| SI 단위 | 약 180.39 mL (일본), 100 mL (중국) |
| 정의 | 1/10 승 |
| 파생 단위 | 합 (면적), 합 (질량) |
| 유래 | 황종관을 채우는 물의 양의 2배 |
![]() | |
| 한글 (음독) | 홉 (Hop) |
| 로마자 표기 | Hop |
| 한자 (한국 한자음) | 合 (합) |
| 중국어 (병음) | gě |
| 일본어 (로마자) | gō |
2. 한국
홉은 부피와 넓이를 재는 단위로 사용되었다. 부피를 재는 단위로서는 0.18리터 정도이며, 열 홉은 한 되이다. 곡식, 가루, 액체 등을 재는 데 사용되었다. 땅의 넓이를 재는 단위인 홉은 1평의 10분의 1이다.
일제강점기에는 한국 고유의 척도가 일본의 것과 같게 표준화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상업적 사용이 금지되었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계속 사용되고 있다.
2. 1. 부피
홉은 곡식, 가루, 액체 등의 부피를 재는 단위이며, 0.18리터 정도이다. 열 홉은 한 되이며, 100홉은 한 섬이다. 일제강점기 동안 한국 고유의 척도는 일본의 등가물로 표준화되었다. 현재의 홉은 13310L (6.1fl oz 또는 0.328dry pt)로, 일본의 '합'과 같다.[1]2. 2. 넓이
홉은 땅의 넓이를 재는 단위로, 1평의 1/10이다. 이는 대략 0.3306m2와 같다.2. 3.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동안, 한국 고유의 척도는 일본의 등가물로 표준화되었다. 현재의 홉은 2401L로, 일본의 '합'과 같다.2. 4.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상업적 사용이 금지되었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3. 중국
중국에서 홉(合, 거)은 전통적인 부피 단위로, 10勺(작) 또는 1/10升(승)에 해당한다.合|거중국어의 정확한 값은 시대별로 달랐다.[1]
| 1 거 |
|---|
| 리터 |
| 100 밀리리터 |
| ≈ 3.52 영국 액량 온스 |
| ≈ 3.38 미국 액량 온스 |
| 0.4 미터법 컵 |
3. 1. 시대별 변화
베이양 정부 시기인 1915년에는 홉을 103.54688ml로 규정했다.[1] 1929년 국민 정부는 홉을 1데시리터(100mL)로 규정했다.[2] 1959년 중화인민공화국은 이 값을 확인하고, 데시리터의 공식 중국어 명칭을 '분성(fēnshēng)' 분성|중국어으로 지정했다.[3]4. 일본
고(合)는 샤쿠를 기반으로 하는 전통 일본 단위이며, 1891년에 공식적으로 2401L (약 180.4ml)와 동일하게 간주되었다. 일본 요리에서 쌀과 사케의 1인분 양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고는 더 이상 공식 단위로 사용되지 않지만, 1고 계량컵 (180ml)은 일본 밥솥에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1고는 150g의 일본 단립종 쌀과 동일하게 간주되기도 하며, 복어 등의 생선 서빙 크기로도 나타난다. 사케 병은 일반적으로 720ml 또는 750ml이므로 약 4고를 담을 수 있다.
4. 1. 부피
1홉은 2401L (약 180.4ml)로 정의된다. 일본 요리에서 1인분의 쌀과 한 컵의 사케는 전통적으로 1홉으로 간주된다. 1홉 계량컵은 일본 밥솥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 1 고 | 2401L |
|---|---|
| ≈ | 180.4ml |
| ≈ | 6.35floz |
| ≈ |
일본에서는 상거래에서 척관법 단위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지만, 오늘날에도 일본 술과 소주의 판매는 주로 1홉(180ml)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1홉의 쌀은 표준적인 1인분의 양이 되며, 1홉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컵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쌀 1홉을 짓는 데 필요한 물의 양도 약 1홉이다. 단위 환산에서 쌀 1 섬 = 60kg이며, 1섬 = 4말 = 40되 = 400홉이므로, 나눗셈을 하면 60kg의 400분의 1은 150g이므로, 1홉은 150g이 된다. 킬로그램으로 환산하면, 쌀 1kg은 6.6홉 이상이다. (1000÷150 = 6.666...)
실측값은 쌀의 상태에 따라 다르다. 또한 수분 함량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묵은 쌀은 건조되어 수분이 적으므로, 햅쌀보다 가볍다.
| 종류 | 무게 | 비고 | |
|---|---|---|---|
| 벼 1홉 | 약 110g | ||
| 생현미 1홉 | 약 156g | ||
| 생백미 1홉 | 약 150g | ||
| 종류 | 정미 과정 | 무게 변화 | 비고 |
| 벼 | 정미 | 생현미 0.5홉 (약 78g) + 왕겨 0.5홉 (약 32g) | |
| 생현미 | 정미 | 생백미 5/6홉 (약 125g) + 쌀겨 1/6홉 (약 31g) | (습윤 시) |
쌀 1,000알이 22 - 23g이므로, 22.5g으로 계산하면, 1홉은 약 6,666알이다.
4. 2. 무게
쌀 1홉의 질량은 약 150g이다. 쌀의 종류와 수분 함량에 따라 다르지만, 쌀 1섬은 60kg이고 400홉이므로, 1홉은 150g이다. 1kg은 약 6.67홉이다. (1000g / 150g/홉 ≈ 6.67홉)실측값은 쌀의 상태와 수분 함량에 따라 달라진다. 묵은 쌀은 건조되어 수분이 적으므로 햅쌀보다 가볍다.
- 벼 1홉 (약 110g) 정미 시: 생현미 0.5홉 (약 78g) + 왕겨 0.5홉 (약 32g)
- 생현미 1홉 (약 156g) 정미 시: 생백미 5/6홉 (약 125g) + 쌀겨 1/6홉 (약 31g) (습윤 시)
- 생백미 1홉 (약 150g)
- 취반 시: 부피와 무게가 약 2.2배 증가하여, 백미 1홉 (약 150g)은 약 330g이 된다.
쌀 1,000알은 약 22~23g이므로, 22.5g으로 계산하면 1홉은 약 6,666알이다.
4. 3. 넓이
땅의 넓이를 재는 단위인 홉은 1평의 10분의 1이다. 홉은 合|고일본어라고도 하며, 1/10 평과 같은 단위이다. 이는 대략 0.3306m2와 같다.4. 4. 등산
일본 등산 용어에서 산기슭에서 정상까지의 거리는 10개의 홉(合)으로 나뉘며, 이 경로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지점을 일반적으로 "스테이션"이라고 부른다.참조
[1]
간행물
政府公報 [''Zhèngfǔ Gōngbào'', ''Government Gazette'']
Office of the President
1915-01-07
[2]
간행물
Official site
http://lis.ly.gov.tw
Legislative Yuan
1929-02-16
[3]
간행물
中华人民共和国国务院公报 [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Guówùyuàn Gōngbào'], No. 180
http://www.gov.cn/go[...]
State Council of the PRC
1959-07-03
[4]
웹사이트
米1合は何粒ぐらいですか?
https://agrin.jp/cro[...]
2022-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일본의 1합 [[마쓰 (상자)|마쓰]]](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